|
 |
 |
 |
HOME
▶ 협의회소식 ▶ 언론보도 |
|
 |
정당공천 폐지 유무 입지자간 희비 |
 |
|
작성자 : 의장협의회 |
작성일 : 2013-09-11 |
조회수 : 2081 |
|
|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기초단체장의 정당 공천은 유지하고, 기초의원은 폐지하는 절충안 쪽으로 국회의 무게 중심이 기우는 모습이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이 당론으로 확정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가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기초선거 공천폐지 반대 입장 표명과 새누리당의 내부 사정,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을 둘러싼 여·야간 정쟁으로 내년 지선에서 정당공천제 폐지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와 관련 여야간 대선 공약 이행 차원에서 기초의원은 폐지하고 단체장은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도내 정치권을 포함한 영남 중심의 새누리당 국회의원들도 기초 단체장에 대한 공천제 폐지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그동안 안철수 신당 창당에 따른 1대1 대결 구도 자체를 불편해 하던 도내 민주당 소속 지역위원장들도 자신감을 얻은 모습이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안풍의 폭발력이 그리 크지 않은 상황에서 책임 정치 구현을 위해 정당 공천을 통한 후보군 필터링 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우선 이 같은 도내 정치권의 입장 변화에 입지자들은 그룹별로 희비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실제로 그동안 정당공천폐지를 ‘갈망’해온 고위 공직자 출신 인사들 다수가 지방선거에 대한 뜻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당공천 폐지 이후 인물 경쟁을 전망했던 이들은 공천 과정에서 조직 다툼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 여부를 검토중인 공직자 출신의 한 인사는 “민주당 공천을 받기 위해선 권리당원 모집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데 한계가 있다. 안 신당 바람을 기대하고 있지만 다수 인사들이 그 쪽에 줄을 대고 있는 상황에서 여의치 않다”고 토로했다.
더불어 그동안 정당공천제 폐지를 지지해온 현역 단체장들도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다자 구도 속 인지도가 높은 본인들의 유리함을 전망해온 이들은 여야간 절충안 마련 가능성에 경선방식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또한 공천 과정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위원장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는 별도로 도내 국회의원들은 14개 시·군 단체장을 비롯한 광역의원 등 공천방식을 조심스럽게 논의중이다. 공천에서 당원과 국민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지역위원장 등 정치권의 역할은 최소화한다는데 의견이 모이고 있다.
내년 지선에서 안철수 신당과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중앙 정치권의 기득권을 최대한 내려놓겠다는 복안이다.
이춘석 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은 “정당공천이 현행대로 유지된다면 좋은 인물을 우리가 추천하는 것이 큰 과제다”며 “조직력이 강한 후보가 공천을 받아왔던 전례를 뛰어넘어야 한다. 훌륭한 인물이 공천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고 말했다. /서울 = 강영희기자 kang@sjbnews.com |
|
|
|
 |
|
|
|
|
|
|